반응형
<Spring 트러블슈팅 특강>
특강 멘토님의 깃허브 참고하기
https://github.com/thandbag/thandbag_BE
실전 프로젝트할 때 참고할 사항
1. 설계 단계부터 꼼꼼히 확인한다.
- EventStorming / 기능, 도메인, 문제해결
- 미로라는 프로그램을 프론트와 백이 같이 쓰면 좋다
- model -> repository -> service -> controller 순으로 코드를 짜면 트러블 슈팅하기 좀 더 편리해 진다
2. 테스트 코드 꼼꼼히
- Swagger는 꼭 사용하기 (모든 팀원이 다 할 줄 알면 좋다)
유의미하게 trouble shooting 기록하는 법
1. 스토리를 만들어라
2. 취업 목적의 프로젝트인 거 항상 생각하라
취업할 때 알고 있으면 좋은 거
1. 알고리즘 중요하다. 매일 1개씩 했다.
2. 트러블 슈팅 그 때 그때 모아놓자
3. 자바 중요!!
-> 자바의 정석을 보자 (JAVA8이 잘되어있다.)
그리고 요즘 추세는 코틀린이다.
실전 때 썼던 기술
1. redis이용해서 최적화를 찾아보았다. / 리프레시 토큰 redis랑 연관있다.
사람들이 질문한거
1. jacoco 테스트 커버리지
- 설계 단계부터 테스트 코드 작성하면 좋다.
- service, model, repository 단까지 하면 좋다.
-> 80%까지 서비스단까지라도 하면 좋다.
2. 그런데 테스트 코드 면접 때 잘 안 물어본다.
- 시간이 나면 하면 좋다.
반응형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항해99_62일차 (실전 프로젝트 16일 차) - 정신 차리자 (0) | 2022.07.09 |
---|---|
TIL_항해99_61일차 (실전 프로젝트 15일 차) - 정신 차리자 (0) | 2022.07.09 |
TIL_항해99_60일차 (실전 프로젝트 14일 차) - 정신 차리자 (0) | 2022.07.07 |
TIL_항해99_59일차 (실전 프로젝트 13일 차) - 정신 차리자 (0) | 2022.07.06 |
TIL_항해99_58일차 (실전 프로젝트 12일 차) - 정신 차리자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