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발일지!!

[ORBITY] SpringBoot로 카카오톡 로그인 API 구현하기(1) - 소셜 로그인

wonderson 2023. 5. 10. 23:06
반응형

사이드 프로젝트 ORBITY에서 필요한 카카오톡 로그인을 구현해 보려고 한다.

먼저 Kakao Develops에서 내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 후에 카카오톡 로그인 구현할 때 필요한

REST API 키를 발급받아 보겠습니다.

 

 

1. https://developers.kakao.com/에 들어가서 로그인한 후에 내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간다.

 

2. + 버튼을 누른다.

3.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해준다.

앱 아이콘 사진과, 앱 이름, 사업자명을 적어준 후에 아래 운영정책을 체크하고 저장한다.

 

4. 그러면 해당하는 앱 키가 나온다.

사이트 도메인, Redirect URI 설정

5. 이번에는 플랫폼에 들어가 보겠다. 여기서 내가 운영할 기본 도메인을 입력해 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www은 쓰지 않아야 한다.

6. 기본 도메인이 등록이 되었다. Redirect URI를 등록하러 가보자

 

7. 실제 서비스에서 카카오 로그인 화면이 연결될 수 있게 활성화를 ON으로 해놓자

[ 6번 링크에서 바로 들어오기는 했지만

해당 설정은 내비게이션 바에서 내 애플리케이션 -> 제품 설정 -> 카카오 로그인에서 볼 수 있다.]

해당 페이지에서 Redirect URI 설정하자

URI는 자신이 설정한 대로 적으면 된다.

 

동의 항목 설정

8. 이제 동의 항목 설정해 보자

팀 프로젝트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설정을 하면 된다.

우리 팀은 사용자의 이메일이 필요해서 이메일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각자 프로젝트에 필요한 개인 정보 체크를 하고 저장을 눌러준다.

 

8-1. 이제 동의 항목 설정 변경해 보자 ( 이메일 필수 동의가 필요하다면!)

이메일은 필수 동의를 하려면 한 번 더 절차가 필요하다. (Biz 앱으로 전환해야 한다.)

비즈니스 설정에 들어가서 개인 개발자 비즈 앱 전환을 누른다.

그리고 비즈 앱 전환 목적을 선택하고 전환을 누르면 끝이다.

이렇게 Biz 앱으로 바뀐 게 보인다.

다시 가서 이메일 동의 항목을 바꿔보자

필수 동의를 할 수 있게 바뀌었다. 선택 후 저장하자.

 

이제 카카오톡 로그인 할 수 있게 구현해보자!

 

 

참고

https://codebibimppap.tistory.com/m/11

https://m.blog.naver.com/adamdoha/222674641842

https://velog.io/@shwncho/Spring-%EC%B9%B4%EC%B9%B4%EC%98%A4-%EB%A1%9C%EA%B7%B8%EC%9D%B8-APIoAuth-2.0

https://velog.io/@dktlsk6/Spring%EC%9C%BC%EB%A1%9C-%EC%B9%B4%EC%B9%B4%EC%98%A4-%EB%A1%9C%EA%B7%B8%EC%9D%B8-%EA%B5%AC%ED%98%84%ED%95%98%EA%B8%B0

반응형